Recent Posts - page 2
-
음의 지수함수와 원자력발전(1)(이규봉 교수)
현 세대가 풍족한 생활을 위해 핵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은 동의 여부조차 물을 수 없는 수많은 미래 세대에게 측정할 수 없는 위험을 떠넘기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이것이 윤리적으로 용납할 수 있는 일인가? -안자이 이쿠로 방사능과 탄소연대측정법 인구 변화를 나타내는 수학적 모델은 방사성 원소가 붕괴되는… Read More ›
-
『The World Nuclear Industry Status Report 2022』 중 한국편
세계원자력산업현황보고서 2022 원본 대한민국의 주요점대한민국은 24개의 원자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3개의 원자로를 건설중에 있다. 한빛 4호기가 장기정전(LTO) 상태에 있는 것은 콘크리트 격납벽에서 발견된 140개의 공극과 격납건물 플레이트의 부식으로 인해 2017년 5월부터 가동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2022년 5월 취임한 윤석열 대통령은 이전 문재인… Read More ›
-
[이투뉴스] ‘원전 70%’ 佛 전력난…“한국에도 닥칠 문제”
‘원전 70%’ 佛 전력난…“한국에도 닥칠 문제” 이상복 기자 2022.10.09 박종운 동국대 교수, 산업硏 세미나서 직격“文정부 탈원전 선언만, 尹은 리벤지 정책” [이투뉴스] 박종운 동국대 에너지전기공학과 교수<사진>는 “원전비중이 70%인 프랑스는 왜 국민들에게 ‘전등 끄라, 전기 아끼라’고 하나. 노후화와 수요대응 출력변동으로 기기수명이 단축돼… Read More ›
-
[한겨레] 바닷물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에 악영향 ‘원전 온배수’ 조사 나서야
바닷물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에 악영향 ‘원전 온배수’ 조사 나서야 2022-10-05 [왜냐면] 이원영 | 수원대 교수·국토미래연구소장 한상복(82) 박사는 우리 해양 연구의 산증인이다. 그는 지난 4월, 광복 직후 미 군정기인 1946~48년 국립수산과학원 소속 해양 연구자들이 손으로 직접 쓴 보고서 등 연구자료 20점을 수산과학원에… Read More ›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4강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3강
-
[한겨레:온 연재] 생명탈핵실크로드
생명탈핵실크로드[2] 출발전야 1– 해직이라는 위기상황을 탈핵걷기운동의 기회로 삼기까지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51 생명탈핵실크로드[3] 출발전야 2 – 순례 때 헌정할 생명헌장을 준비하다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83 생명탈핵실크로드[4] 출발하는 날 – 고 박원순 시장의 뜻과 함께 한 출발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04 생명탈핵실크로드[5] 서울에서 부산까지1 – 촛불정부의 출범을 보면서 걷기 시작하다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31 생명탈핵실크로드[6] 서울에서 부산까지2 -원전위험을… Read More ›
-
생명탈핵실크로드[1] 연재에 들어가며
생명탈핵실크로드[1] 연재에 들어가며 기자명 이원영 2022.09.03 5년동안 8200km 걸은 뜻은 드디어 로마에 도착했다. 5년만이다. 생명탈핵실크로드라는 이름으로 서울을 출발한 것이 2017년 5월이다. 걷는 날마다 쓴 일지가 571회다. 걸은 날도 그만큼 되는 것이다. 그야말로 긴 세월을 걸었다. 로마의 가장 큰 신문인 <일… Read More ›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2강
-
원자력발전의 사회적 비용 제1강
Featured Categories
2021년 ›
-
2021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12월 31, 2021
-
전영환 교수의 원전 한계론 [전기신문]
12월 6, 2021
2022년 ›
-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회의
1월 24, 2023
-
[PV Tech]호주에너지시장운영자(austrailia energy market operator, AEMO),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100% 계획 발표
12월 19, 2022
2020년 ›
-
[KBS 세계는 지금] 원전 강국 프랑스, 험난한 친환경 원전의 길
12월 19, 2022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2강
9월 19,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