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 page 3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3강
-
[한겨레:온 연재] 생명탈핵실크로드
생명탈핵실크로드[2] 출발전야 1– 해직이라는 위기상황을 탈핵걷기운동의 기회로 삼기까지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51 생명탈핵실크로드[3] 출발전야 2 – 순례 때 헌정할 생명헌장을 준비하다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83 생명탈핵실크로드[4] 출발하는 날 – 고 박원순 시장의 뜻과 함께 한 출발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04 생명탈핵실크로드[5] 서울에서 부산까지1 – 촛불정부의 출범을 보면서 걷기 시작하다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31 생명탈핵실크로드[6] 서울에서 부산까지2 -원전위험을… Read More ›
-
생명탈핵실크로드[1] 연재에 들어가며
생명탈핵실크로드[1] 연재에 들어가며 기자명 이원영 2022.09.03 5년동안 8200km 걸은 뜻은 드디어 로마에 도착했다. 5년만이다. 생명탈핵실크로드라는 이름으로 서울을 출발한 것이 2017년 5월이다. 걷는 날마다 쓴 일지가 571회다. 걸은 날도 그만큼 되는 것이다. 그야말로 긴 세월을 걸었다. 로마의 가장 큰 신문인 <일… Read More ›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2강
-
원자력발전의 사회적 비용 제1강
-
[하계초청강연회] 미아가 된 유럽원전과 택소노미(석광훈)
-
[탈핵사랑방]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 그리고 일본의 최근 동향(영상 , 전문)
[탈핵사랑방]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 그리고 일본의 최근 동향(1)/ 김해창(경성대 교수, 환경공학) 이원영오늘 탈핵사랑방 마지막 주에 그동안 김해창 교수님 우리 탈핵 학계와 연구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시고 글도 부지런히 쓰시고 또 일본 사정에 정통하신 김해창 교수님 모시고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교훈과… Read More ›
-
원자력 발전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인가
원자력 발전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인가 미아가 된 유럽 원전과 택소노미 2022년 8월 1일 이승무(탈핵에너지학회 상임이사, 순환경제연구소장) 연락처: 010-2430-9881 지난 7월 20일에 탈핵에너지학회에서는 에너지전환포럼의 석광훈 전문위원을 초청하여 “미아가 된 유럽 원전과 택소노미”라는 주제로 (화상) 강연회 겸 토크쇼를 열었다.택소노미란 EU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Read More ›
-
[뉴스외전 포커스] “현 정부 원전 정책은 지속 불가능”
[뉴스외전 포커스] “현 정부 원전 정책은 지속 불가능” 2022-07-14 박종운 동국대 교수“원전, 심각하게 타격받은 건 아냐‥생태계 무너졌다는 건 오버”“전 정부 ‘탈원전’ 영향은 월성 1호기 하나 조기 폐쇄된 영향 정도”“기존 원전 수명 연장하고 더 지어서 전력 싸게 쓸 수 있으면 좋지만,… Read More ›
-
[탈핵사랑방] 삼척/영덕 탈핵운동이야기(내용전문)
성원기 (강원대 교수) 삼척의 탈핵의 역사를 말씀드리려고 하니까 마음이 좀 울컥합니다. 그렇게 애써서 싸워서 삼척만 싸운 것이 아니죠. 전국민이 다함께 싸워서 탈핵을 이루어놨는데, 탈핵이 하루아침에 부정되는 현재 상황을 맞이하면서 이상황에서 우리가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하는데요. 따지고 보면 삼척이… Read More ›
Featured Categories
2021년 ›
-
2021년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12월 31, 2021
-
전영환 교수의 원전 한계론 [전기신문]
12월 6, 2021
2022년 ›
-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회의
1월 24, 2023
-
[PV Tech]호주에너지시장운영자(austrailia energy market operator, AEMO), 202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100% 계획 발표
12월 19, 2022
2020년 ›
-
[KBS 세계는 지금] 원전 강국 프랑스, 험난한 친환경 원전의 길
12월 19, 2022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2강
9월 19,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