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
원자력의 사회적 비용 제3강
-
[한겨레:온 연재] 생명탈핵실크로드
생명탈핵실크로드[2] 출발전야 1– 해직이라는 위기상황을 탈핵걷기운동의 기회로 삼기까지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51 생명탈핵실크로드[3] 출발전야 2 – 순례 때 헌정할 생명헌장을 준비하다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83 생명탈핵실크로드[4] 출발하는 날 – 고 박원순 시장의 뜻과 함께 한 출발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04 생명탈핵실크로드[5] 서울에서 부산까지1 – 촛불정부의 출범을 보면서 걷기 시작하다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31 생명탈핵실크로드[6] 서울에서 부산까지2 -원전위험을… Read More ›
-
생명탈핵실크로드[1] 연재에 들어가며
생명탈핵실크로드[1] 연재에 들어가며 기자명 이원영 2022.09.03 5년동안 8200km 걸은 뜻은 드디어 로마에 도착했다. 5년만이다. 생명탈핵실크로드라는 이름으로 서울을 출발한 것이 2017년 5월이다. 걷는 날마다 쓴 일지가 571회다. 걸은 날도 그만큼 되는 것이다. 그야말로 긴 세월을 걸었다. 로마의 가장 큰 신문인 <일… Read More ›
-
[하계초청강연회] 미아가 된 유럽원전과 택소노미(석광훈)
-
[탈핵사랑방]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 그리고 일본의 최근 동향(영상 , 전문)
[탈핵사랑방]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교훈, 그리고 일본의 최근 동향(1)/ 김해창(경성대 교수, 환경공학) 이원영오늘 탈핵사랑방 마지막 주에 그동안 김해창 교수님 우리 탈핵 학계와 연구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시고 글도 부지런히 쓰시고 또 일본 사정에 정통하신 김해창 교수님 모시고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교훈과… Read More ›
-
원자력 발전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인가
원자력 발전은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인가 미아가 된 유럽 원전과 택소노미 2022년 8월 1일 이승무(탈핵에너지학회 상임이사, 순환경제연구소장) 연락처: 010-2430-9881 지난 7월 20일에 탈핵에너지학회에서는 에너지전환포럼의 석광훈 전문위원을 초청하여 “미아가 된 유럽 원전과 택소노미”라는 주제로 (화상) 강연회 겸 토크쇼를 열었다.택소노미란 EU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Read More ›
-
[뉴스외전 포커스] “현 정부 원전 정책은 지속 불가능”
[뉴스외전 포커스] “현 정부 원전 정책은 지속 불가능” 2022-07-14 박종운 동국대 교수“원전, 심각하게 타격받은 건 아냐‥생태계 무너졌다는 건 오버”“전 정부 ‘탈원전’ 영향은 월성 1호기 하나 조기 폐쇄된 영향 정도”“기존 원전 수명 연장하고 더 지어서 전력 싸게 쓸 수 있으면 좋지만,… Read More ›
-
[탈핵사랑방] 삼척/영덕 탈핵운동이야기(내용전문)
성원기 (강원대 교수) 삼척의 탈핵의 역사를 말씀드리려고 하니까 마음이 좀 울컥합니다. 그렇게 애써서 싸워서 삼척만 싸운 것이 아니죠. 전국민이 다함께 싸워서 탈핵을 이루어놨는데, 탈핵이 하루아침에 부정되는 현재 상황을 맞이하면서 이상황에서 우리가 무슨 이야기를 할 수 있을까 하는데요. 따지고 보면 삼척이… Read More ›
-
[탈핵사랑방] 에너지 전환 정책의 급소(영상 , 전문)
이상복(이투뉴스 부장) 오늘 따로 제가 자료를 준비하는 건 아닌데 그냥 편하게 토크쇼니까 편하게 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에너지 전환 정책의 급소’ 이렇게 토크쇼 제목을 달아주셨는데 우리가 운동선수들도 급소 공격하는 건 예의가 아니잖아요. 그래서 급소까지는 아니더라도 지난 5년 에너지 정책에 대한 반추,… Read More ›
-
[탈핵사랑방] 경제를 위기로 모는 원전 확대: RE100 시대의 역주행(발표자료, 영상, 전문)
경제를 위기로 모는 원전확대: RE100시대의 역주행 (1) 장다울(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전문위원) 저는 그린피스 동아시아 지구 서울사무소에서 전문위원으로 일을 하고 있고요. 그리고 아까 교수님께서 제가 한국 사무소 책임자라고 하셨는데 그런 적은 없고요. 열심히 예전부터 활동을 하고 있고 참고로 동아시아는 지금 베이징, 홍콩…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