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월호-체르노빌과 흑해 방사능

[알림] 한국탈핵에너지학회(준) 창립준비 제7차 학술회의

한국탈핵에너지학회(준) 창립준비 제7차 학술회의 일시: 2020년 5월 22일(금) 오후1시반~5시반 장소: 서울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7층 체칠리아홀 <초청강연회> 오후1시반~2시45분원전이 기후위기의 대안이 될 수 없는 이유강연: 윤순진(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환경에너지정책)공동주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기후위기및지구촌연구위원회, 한국탈핵에너지학회(준) <제7차 학술회의> 오후3시~5시반제1부. 원전 추종자들의 ‘확증편향’ 심리발제: 한규석(전남대 명예교수, 사회심리학)제2부…. Read More ›

[논문] 체르노빌 원전 사고-20세기가 보내온 생명 파괴의 경고(한정숙)

환경과 역사 체르노빌 원전 사고 ―20세기가 보내온 생명 파괴의 경고 한정숙 체르노빌(Chernobyl). ‘체르노브일’이라 쓰고 ‘체르노’ 다음에 ‘브일’을 함께 빨리 읽은 뒤 혀를 경구개에 살짝 대었다가 떼어내면 원음에 가까워진다. 아, 이곳은 우크라이나 땅에 있으니까 우크라이나 식으로 읽으면 ‘초르노브일’에 가깝다. 러시아어 체르노브일,… Read More ›

[기사] 30대 터키 청년이 말하는 체르노빌 원전사고(미디어오늘)

30대 터키 청년이 말하는 체르노빌 원전사고 [ 기고 ] 세계민중 모은 제2의 UN 기구가 절실하다 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2020.03.30 나는 2019년 여름 수원대 이원영 교수가 주도하는 생명·탈핵 실크로드순례단에 참여했다. 4주 동안 우즈베키스탄의 타쉬켄트에서 터키의 이스탄불까지 순례에 동참했다. 터키 수도… Read More ›

[기사] 원전과 ‘팬데믹'(경향신문)

[기고]원전과 ‘팬데믹’ 이정윤 | 원자력 안전과 미래 대표 2020.04.03 원문보기>>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004032046035 3월22일자 로이터통신이 상세히 보도한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방역 성공 이유가 인상적이다. 첫째, 위기를 예상하고 미리 준비한 데다 둘째, 실제상황에 닥쳐서는 투명하고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했다는 것이고 셋째, 의사결정 이행과정에서 ‘테스트 기술’상의… Read More ›

[기사] 안전신화에 기반한 ‘탈원전 반대’로는 미래 없다(국제신문)

김해창 교수의 ‘재난의 정치경제학’<8>안전신화에 기반한 ‘탈원전 반대’로는 미래 없다 국제신문디지털뉴스부 2020-04-13 <8>안전신화에 기반한 ‘탈원전 반대’로는 미래 없다 원문보기>>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500&key=20200413.99099004807 최근 21대 총선일을 불과 닷새 앞두고 친원전 진영이 ‘월성1호기 폐쇄 결정’ 무효소송을 제기하고, 제1야당은 ‘원전부활 정책’을 공약으로 내놓는 등 탈원전 반대의… Read More ›

[기사] 삼중수소에 대하여(건강미디어)

삼중수소에 대하여 2020.04.11 박찬호(반핵의사회 운영위원, 녹색병원 사무처장) 들어가는 말 삼중수소의 발생과 특징 핵발전소에서 삼중수소의 일상적 방출 삼중수소의 건강영향 쟁점사항 ICRP와 삼중수소 외국의 피해사례(번역문) 결론 들어가는 말 2011년 3월11일 지진과 쓰나미로 1호기와 3호기는 수소폭발이 일어난 후쿠시마핵발전소는 지금도 핵물질이 계속해서 분열 중에… Read More ›

[기사] 작년 세계 신규 발전설비량의 72%가 재생에너지(이투뉴스)

작년 세계 신규 발전설비량의 72%가 재생에너지 조민영 기자 2020.04.13 국제재생에너지기구, 재생에너지 신규용량 176GW 추산올해는 코로나19로 ‘재생에너지 공급망 확대’ 방해 징후 [이투뉴스] 지난해 새로 설치된 발전설비 용량의 4분의 3은(72%) 재생에너지로 나타났다. 역대 최고기록이다. 작년 재생에너지 신규량은 176GW로 전년보다 소폭 줄었지만, 화석에너지…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