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월호-독일의 에너지전환

[제8차 학술회의] 토론 ‘독일의 에너지전환'(김수진)

독일의 에너지전환 토론문 (2020. 6. 25. 김수진) ○ 독일의 에너지전환 정책의 시사점 1. 독일은 2000년 ‘핵합의(Atomkonsens)’와 2011년 ‘에너지컨셉(Energiekonzept)’를 통해 탈원전에 대한 정책 의지를 분명히 밝힘. – 한국의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이 신규 원전의 설계수명 60년을 보장하면서 2080년대까지 원자력발전소 운영을 보장했다면,… Read More ›

[정책세미나-에너지전환은행의 필요성] 사회적 에너지전환은행 구상(송동근)

<토론> 사회적 에너지전환은행 구상 송동근(안양대 교수, 전 푸르덴셜 증권 부사장) I. 목적 : 사회적 활동기업 지원(탈핵에너지전환)기업이나 단체 스스로 현재 핵에너지를 다른 에너지로 바꿀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 장기적으로 그렇게 하는 데 동의는 한다. 다만, 많은 비용을 감수하며 왜 우리 기업, 우리… Read More ›

[정책세미나-에너지전환은행의 필요성] 에너지 전환 금융에 대한 단상(양준호)

민교협 주최 정책토론회(2013년 9월 16일) 토론문 에너지 전환 금융에 대한 단상 -지속가능한 환경 및 에너지 사회에 대한 상상력과 그 실천- 양준호(인천대 교수, 경제학) 1. Project Finance 신재생에너지 또는 자연에너지 관련 사업의 자금조달은 해당 프로젝트의 수행에 의해 창출되는 수입만을 상환 자금원으로… Read More ›

[정책세미나-에너지전환은행의 필요성] 유럽지역 흐름을 통해서 본 에너지은행의 역할 및 필요성(문진수)

발제 자료 유럽지역 흐름을 통해서 본에너지은행(Energy Bank)의 역할 및 필요성 2013. 9. 16 한국사회적금융연구원 / 문진수 Ⅰ. 문제제기 세계적으로 탈핵․탈석유 신재생 에너지로의 전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재생에너지 기반으로의 체제 전환을 위한 합리적 제도의 도입 및 투자 재원 조달 루트로서의… Read More ›

[정책세미나] 에너지전환은행의 필요성(보도자료 요약)

보도자료용 요약 발제1. 주요국가의 녹색은행과 시사점 (김정인 중앙대 교수)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노력이 필요미국, 네덜란드 등의 국가는 정책적인 차원에서 녹색금융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녹색은행의 대출을 국가가 보증.② 민간금융기관의 참여의지가 필요대출 및 여신업무시 은행(금융그룹)의 차원에서 기업을 평가할 때 환경리스크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