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51권 제3호 2016.06 핵발전소 위험과 국민주권 – 국토안전을 위한 대응체제의 모색 – A Study on Risks of NPPs and the Sovereign Power of the People– Focused on the ways more safety & security of countries & Earth –… Read More ›
12월호-핵발전소 위험과 대책
[원전기술문제 아카데미] 자동차도 고장나는데 원전만 안전하다는 미신(민중의소리)
[기고] 자동차도 고장나는데 원전만 안전하다는 미신 고토 마사시 (일본원전전문가) 의 안전기술문제 강좌를 소개하며 이원영 수원대 교수, 원전위험공익제보센터 준비위원 2019-11-10 원문보기>> https://www.vop.co.kr/A00001447089.html 이론물리학자인 서울대 물리학과 장회익 명예교수는, 오래전부터 원전의 위험을 막는 방법이 이론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해왔다. 2012년의 그의 강연 중에는,… Read More ›
12월호 개요 및 목차
12월호 주제 : 핵발전소 위험과 대책 12월호 목차 창립준비웹진 12월호는 2016년에 발행된 「핵발전소위험과대책」(펴낸곳:핵발전소안전대책포럼) 책자자료를 재구성하였습니다. 세계 핵발전소 사고의 유형과 교훈– 김해창(경성대학교 교수, 환경공학)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에 대한 일본의 대응 사례의 교훈– 최종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과정생), 윤순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국가위기관리시스템과 핵발전소 사고시의 과제– 이재은(충북대학교… Read More ›
[핵발전소 위험과 대책] 세계 핵발전소 사고의 유형과 교훈(김해창)
세계 핵발전소 사고의 유형과 교훈 김해창(경성대학교 교수, 환경공학) 가. 핵발전소 사고의 유형 핵발전소는 핵폭탄과 함께 태어난 쌍생아이다. 2016년 1월 현재 전 세계에 가동되는 핵발전소는 총 441기이다.(주1) 1940년대 상업용 핵발전이 시작된 이래 최근까지 크고 작은 핵발전소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Read More ›
[핵발전소 위험과 대책]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에 대한 일본의 대응 사례의 교훈(최종민, 윤순진)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에 대한 일본의 대응 사례의 교훈(주1) 최종민(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과정생), 윤순진(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이번 장에서는 2011년 3월 11일 일본에서 발생한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에 대해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취했던 대응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의 1차적인 원인은 역대… Read More ›
[핵발전소 위험과 대책] 국가위기관리시스템과 핵발전소 사고시의 과제(이재은)
국가위기관리시스템과 핵발전소 사고시의 과제(주1) 이재은(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맹점이라는 문제는 모든 시스템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이며 그 원인으로서는 계기의 오판, 보이지 않는 위치에 있는 장치, 제어에 대한 둔감한 반응을 들 수 있다. 기계에 관해서 자신이 아는 것은 얼마나 적은 부분인가 하는… Read More ›
[핵발전소 위험과 대책] 원전의 안전감시 어떻게 할 것인가?(이정윤)
원전의 안전감시 어떻게 할 것인가?(주1) 이정윤(원자력 안전과 미래) 가. 배경 (1) 국민정서상 불안한 원전 1) 후쿠시마 원전사고 2011년 3월 11일 일본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진도 9.0의 대지진 발생으로 대형 원전사고를 전 국민이 목격하였고 실제로 원전의 위험성을 인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전… Read More ›
[기사] 그린피스 “후쿠시마 방사능 없애겠다는 말은 판타지”(중앙일보)
그린피스 “후쿠시마 방사능 없애겠다는 말은 판타지” 2019.11.07 김정연 기자 원문보기>> https://news.joins.com/article/23627147 수석 원자력전문가 숀 버니 인터뷰 “오염 제거했다는 지역 오염 확인” “日정부 과학 무시하고 정치 수사만”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난 지 7년 반이 지났다. 70%가… Read More ›
[기사] 지구촌 ‘마더’가 필요해(불교닷컴, 국영문)
지구촌 ‘마더’가 필요해 이원영 교수(수원대) 2019.10.14 원문보기>> http://www.bulkyo21.com/news/articleView.html?idxno=44020 때는 2019년 1월. 복직후 잠시 중단되었던 생명•탈핵실크로드를 재개해서 인도의 뉴델리 부근까지 4천5백km쯤 걸은 날, 걸어가는 필자를 보고 중앙정부의 젊은 관료가 호기심으로 차에서 내려 다가왔다. 그는 필자의 스토리를 듣고 감동하였던지 다음날 아침 그의… Read More ›
[기사] ‘탈원전’에 시비거는 언론들에게(미디어오늘)
[기고] ‘탈원전’에 시비거는 언론들에게 이원영 수원대 교수·한국탈핵에너지학회 창립준비위원 2019.11.03 원문보기>>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3308 2013년은 원전 즉 핵발전소를 둘러싼 주요 사건이 많았던 해다. 가장 큰 사건은 한국 천주교의 공식기구인 주교회의에서 공식적으로 탈핵탈원전사회로의 전환을 촉구한 것이다. 마침 그해 여름부터 독실한 가톨릭신도인 성원기 강원대교수(전자공학)는 일행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