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 기획에 대한 개요 국민의 뜻대로 2년전 대통령이 탈원전을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학계는 아직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제 탈원전과 관련된 많은 학문에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지식 및 정보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흐름을 만들고자 합니다. 지난 6월 진행된 ‘한국탈핵에너지학회’… Read More ›
08월호-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
[토론문] 이중근(경향신문 논설위원)
(탈)원전 정책에 대한 언론 보도와 제언 - 경향신문 이중근 논설위원 1. 문제의 제기 독일은 2000년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시작하고, 2011년에는‘2022년까지 원전 제로’를 선언하는 등 탈핵 정책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함께 원전에서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에너지 정책을… Read More ›
[토론문] 성원기(강원대 교수)
<독일 에너지 전환의 생태적 효과>에 대한 토론문 강원대학교 교수 성원기 정리된 발표 잘 들었습니다.독일 에너지 전환 목표 및 주요내용으로 2050년에 온실가스는 1990년 대비 배출량 –80%–95%, 재생에너지의 전력소비비중 80%, 최종에너지소비 비중 60%, 에너지효율은 2008년 대비 1차 에너지소비 –50%, 2008년 대비 전력소비… Read More ›
[토론문] 이상헌 (한신대 교수, 녹색전환연구소장)
탈핵에너지학회 창립준비 2차 세미나 토론문 이상헌(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교수, 녹색전환연구소장) <이태구 교수님 원고>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에서 건축물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태구 교수님의 발제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생각함. 특히 탈원전으로 인한 전기요금 상승이나 비용 증가 부분을 생태적인 방향으로… Read More ›
[학술회의 보고] 제2차 학술회의 ‘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 개요 및 사진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창립준비 제2차 학술회의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 국민의 뜻대로 2년전 대통령이 탈원전을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학계는 아직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제 탈원전과 관련된 많은 학문에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지식 및 정보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흐름을 만들고자 합니다.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창립을 준비하는 2차… Read More ›
[발제문] 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이원영 수원대교수, 이승은 국토미래연구소연구원)
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와 키워드 2019-06-09 24:00 이승은 (국토미래연구소 연구원)이원영 (수원대 교수, 국토미래연구소장) INDEX SPEECH : 독일 대사의 탈원전 ‘팩트체크’ 독일 탈원전의 개요전력관련 논란사항 팩트체크 시민운동과 여론 인권과 윤리 원전의 사회적 비용 정치와 국가기관 시민안전 원전해체 핵폐기물 문제 에너지자립과 에너지전환… Read More ›
[학술회의 보고]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창립준비 제2차 학술회의(불교닷컴,2019/06/13)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창립준비 제2차 학술회의 14일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 2019년 06월 13일 (목) 서현욱 기자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창립준비 제2차 학술회의가 오는 14일 오후 2시 국가인권위원회 10층 배움터에서는 열린다. 주제는 ‘독일 탈원전 연구의 아젠다’. 주제발표는 김수진 교수(고려사이버대)가 ‘독일 탈원전의 경위와… Read More ›
[관련기사]“독일에 재생에너지 일자리 36만개…원자력·석탄보다 낫다” (경향신문,2018/12/03)
[에너지 전환, 선택 아닌 필수]<3>독일 부퍼탈연구소 만프레트 피셰디크 부소장 “독일에 재생에너지 일자리 36만개…원자력·석탄보다 낫다” 부퍼탈(독일) | 구교형 기자 2018.12.03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계기로 독일인들 생각 바뀌어…재생에너지 전환에 적극 나서기 시작 시민 인식 전환과 정부 정책적 결단 이뤄지자 저항하던 기업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