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탈핵실크로드[2] 출발전야 1
– 해직이라는 위기상황을 탈핵걷기운동의 기회로 삼기까지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51
생명탈핵실크로드[3] 출발전야 2
– 순례 때 헌정할 생명헌장을 준비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183
생명탈핵실크로드[4] 출발하는 날
– 고 박원순 시장의 뜻과 함께 한 출발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04
생명탈핵실크로드[5] 서울에서 부산까지1
– 촛불정부의 출범을 보면서 걷기 시작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31
생명탈핵실크로드[6] 서울에서 부산까지2
-원전위험을 구조적으로 예방하려면 국회에서도 교차감시해야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274
생명탈핵실크로드[7] 일본 히로시마에서 원폭문제를 돌이켜보다
– 미국에 조선인 원폭피해의 책임을 물어야 하는 이유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322
생명탈핵실크로드[8] 일본 야마구치의 탈핵동지들1
– 환대 속에 일본 순례를 진행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372
생명탈핵실크로드[9] 일본 야마구치의 탈핵동지들 2
– 조세이 탄광 그리고 시모노세키에 이르는 길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419
생명탈핵실크로드[10] 후쿠오카를 거쳐 겐카이 원전 반대 현장까지
– 국민이 주인이다, 탈원전!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450
생명탈핵실크로드[11] 나가사키 사람들과 함께
– 일본을 떠나며, 핵없는 세상을 기원하는 위령제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490
생명탈핵실크로드[12] 대만의 탈핵이야기에 감명 받다
– 국민투표로 주요 사안을 결정하는 직접민주주의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36
생명탈핵실크로드[13] 지진 위험이 촉진한 대만의 탈원전
-백련화 보살로부터 배운 마주 손흔들기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596
생명탈핵실크로드[14] 홍콩을 걸으면서
-이질문명의 교차점이 주는 기회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648
생명탈핵실크로드 [15] ‘원전 백지화’ 베트남을 걸으며
-도보순례의 성패를 가름하는 고비였던 베트남의 무더위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748
생명탈핵실크로드[16] 베트남 농경문화를 눈여겨 본다
-생태적으로 장점이 풍부한 농사환경 그리고 벼농사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797
생명탈핵실크로드[17] 라오스의 아름다운 자연, 그리고…
– 순례의 궁극적 목적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879
생명탈핵실크로드[18] 메콩강의 추억
– 세상의 이치를 엿보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951
생명탈핵실크로드[19] 인심 후덕한 태국을 걸으며
– 걷는 부처님을 만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980
생명탈핵실크로드[20] ‘무생물도 생명있는 존재처럼 소중히’
– ‘세계생명헌장2017안’을 리뷰하는 방콕세미나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051
생명탈핵실크로드[21] 피낭과 쿠알라룸푸르에서 만난 지구촌
-동서양 해양문화의 교류지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167
생명탈핵실크로드[22] 인도순례전야 그리고 오로빌 마을
불교 8대 성지를 걸어갈 계획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288
생명탈핵실크로드[23] 인도 캘커타에서부터 걷기 시작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380
생명탈핵실크로드[24] 인도농촌의 순환형 삶을 눈여겨 보다
-보드가야(Bodh Gaya) 가는 길 위에서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383
생명탈핵실크로드[25] 보드가야(Bodh Gaya) 그리고 바라나시(Varanasi)
-보드가야에서의 큰 인연 그리고 바라나시에서의 문화적 충격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491
생명탈핵실크로드[26] 라즈기르(Rajgir,영축산) 가는 길
-부처님이 걸으셨으리라 짐작되는 길을 따라 가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546
생명탈핵실크로드[27] 인도 비하르지방의 겨울을 걸으며
-날란다 대승원 유적지를 지나 갠지즈강을 건너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597
생명탈핵실크로드[28] 바이살리(Vaishali)를 거쳐 쿠시나가르(Kushinagar)까지
-“가자 가자 우리가 바라는 세상으로 함께 이루어 가자”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672
생명탈핵실크로드[29] 네팔 그리고 룸비니(Lumbini)에 도착하다
-인류의 오만을 경고하는 지진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802
생명탈핵실크로드[30] 쉬라바스티(Shravasti) 도착 그리고 대학 복직
-4,000km 지점에서 순례를 일시 중단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823
생명탈핵실크로드[31] 생명헌장을 재검토하는 세미나
-순례중단기간에, 생명의 개념을 정립하는 세미나를 진행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886
생명탈핵실크로드[32] ‘지구생명헌장2018서울안’이 완성되다
다시 출발할 준비를 마치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947
생명탈핵실크로드[33] 다시 걷는 넉넉한 인도
재평가되어야 할 인도농촌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153
생명탈핵실크로드[34] UN을 이끌어갈 새 지구촌 조직이 필요해
‘지구생명헌장’을 전하러 가는 ‘동방박사’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173
생명탈핵실크로드[35] 아이 러브 코리아!
인도의 재생에너지 비중 20%가 말해주는 것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223
생명탈핵실크로드[36] 펀잡지방을 지나 히말라야로
다람살라에 이르는 길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274
생명탈핵실크로드[37] 달라이라마 존자를 알현하다
필자에게 직접 말씀하신 내용은,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316
생명탈핵실크로드[38] 히말라야의 추억 그리고 간디
귀국하여 1학기 강의를 다시 맡다.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10
생명탈핵실크로드[39] 원전오염수 문제에 국제공조를 기대했건만
2019년 상반기, 순례단의 국내 활동
http://www.hanio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477
카테고리:생명탈핵실크로드, [한겨레온] 생명탈핵실크로드순례연재
답글 남기기